서예세상

[스크랩] 중국 서예사(1)

명봉산방 2011. 3. 3. 07:45

                               1) 漢字의 기원

I) 불분명하다.

ii) 최초는 그림문자였을 것이다.

iii) 象形文字에서 발전하였을 것이다.

iv) 전설에는 황제 때 창힐이 세 발자국을 본떠서 만들었다.

  새 발자국은 상형을 의미한다. 그러나 남아있지 않아서 모른다.

 * 4500~5000년 전에 漢族은 중국의 서북방, 황허의 상류지역으로 남하하면서 원주민인 묘족을 남쪽으로 밀어냈다. 황허 상류 지역    에  정착하여 이들은 신석기 문화의 앙소문화를 이루었다. 이들은 도자기에 채색을 하고, 문양을 넣고, 부호(刻化부호)를 남겼다.

 

 

 

 

 

                    2)도문(陶文)

I) 신석기 시대의 중국 도자기에는 다양한 문양이 그려져 있다. 그 중에 앙소문화의 반파 유 적지에서 발굴된 도자기에는 여러 가지

   부호가 새겨져 있다.

  물론 읽을 수가 없다. 이것이 중국 한자의 기원이 아닌가? 라고 한다.

ii) 후대로 오면서 도자기의 그림이 갑골문의 선구적 모양이 아닐까? 하는 기호가 나타났다.

   실제로는 한문의 어원으로 읽는 학자도 있다.(旦)

a) 앙소문화의 반파유적지 토기 부호는 숫자나 短文이(규칙적 배열) 아닐까 한다.

b) 도기의 바닥에 있다. 규칙적이고, 독립적이서 단문이 아닌가라고 생각한다.

 

  

 

          3) 甲骨文

상대(은허)의 유적지에서 발굴한 것으로, 거북의 껍질이나, 소의 뼈에 새겨져 있는 글자이다. 약 3000년 전에 중국 상대 후기에 남긴 문자로서 지금까지 남아있는 중국 최초의 문자이다.

내용은 대부분이 占卜文이고, 약간의 記事文도 있다. 소의 뼈(牛骨)에 새긴 것은 거의가 기사문이다.

*商代의 왕은 신정일치 시대의 왕으로서 제사장을 겸하고 있다. 국가 통치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점을 쳐서 신의 뜻을 묻는 일이었다. 점을 보는 관리를 貞人이라 하여, 고급관리인 동시에 귀족 계급이었다.

* 갑골문은 갑골에 새긴 것이지만 먹으로 쓴 것도 있고, 붉은 색, 검은 색의 안료로 칠해진 것도 있다. 문자가 없는 갑골편이 훨신 더 많이 발굴된다.

* 시기는 BC1500~BC1200년 경에 만들었다.

 

                   4) 갑골문을 새기는 방법

 새기는 도구는 청동이거나 玉器이다. 새기는 도구에 따라서 글자체에 차이가 난다.

a) 單刻型 -- 갑골에 칼로 직접 새기는 방법(주로 이 방법으로 새겼다.)

b) 摹刻型 -- 붓으로 먼저 글씨를 써고 그에 따라서 새기는 방법이다. 주로 필획이 가늘고, 양끝이 예리하다. 필획의 연결 부분이 각  

   이 지고, 글자의 모양이 모가 나있다. (아주 드 물다.) 필획의 양면을 두 번에 걸쳐서 새기므로 가운데 부분이 두툼해지고 필획ㅇ이

   부 드럽다.

 필획의 연결부분이나, 글자+모양새가 둥글다. 청동기 명문의 書風을 닮았다.

 

일반적으로, 새로 획을 먼저 새기고 나서, 가로 획은 90도로 돌려서 다시 새로로 새긴 다.

 

 

                   

            5) 字形

칼로 단단한 갑골에 새겨야 함으로 필획이 곧고, 편편하고, 깔끔하다. 필획이 모가 나며 꺾여 있어 원시미술의 소박성과 진솔성이 보인다.(꾸밈이 없다.)

글의 구도는---대립 형식이 많다. (중국 예술의 하나의 특징이기도 하다. 즉 대련, 대구법)

주나라가 건국하면서 급격히 쇠퇴한다.

 

                  6) 漢字의 構成

I) 象形文字 -- 물체의 형상을 본따서 나타낸다.

ii) 指事文字 -- 형이 없는 것은 기호로 표시한다.(대부분이 추상어이다.)

iii) 會意文字 --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결합하여 만든 合成文字이다.

예 林 -- 木+木. 尖 -- 小+大 孝 -- 老+子

iv) 形聲文字 -- 만들어진 문자의 형태이다. 하나의 字意와 字音을 나타낸다.

忿 -- 分+心

v) 轉注文字 -- 문자의 의미를 다른 의미로 전용하여 사용한다. 樂은 악기를 나타내는 말이 지만, 음악을 들으면 즐겁다에서 ‘즐기다’라는 전용됨.

vi) 假借文字-- 뜻을 빌리지 않고 음만 빌린 문자.

예 ; 皮革 ---> 改革에서 혁은 소리만 빌린 글자이다.

 

 

 

출처 : 서예세상
글쓴이 : 촌정 원글보기
메모 :